190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의 헤레로족과 나마족 학살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호텐토트 선거"로 불렸다. 선거의 주요 원인은 식민지 정책에 대한 정부 예산안 부결과 빌헬름 2세 황제의 의회 해산에 있었다.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은 득표율이 증가했음에도 의석 수가 감소했고, 중앙당은 의석을 늘렸다. 보수 정당과 국민자유당은 소폭의 의석 증가를 보였으며, 좌파 자유주의자들은 의석을 크게 늘렸다. 폴란드 후보들이 상부 실레지아에서 선전하여 주목을 받았다. 이 선거는 독일 정치 지형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식민지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7년 1월 - 1907년 1월 러시아 총선
1907년 1월 러시아 총선은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 제2대 러시아 국가두마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나, 급진적인 의원들의 다수로 정부와의 갈등 심화와 두마 해산으로 이어져 러시아 민주주의의 짧은 실험으로 평가받는다. - 1907년 1월 - 1907년 1월 14일 일식
1907년 1월 14일에 동아시아, 특히 대한제국에서 관측된 부분 일식은 한국 시각으로 오전 10시 35분 13초에 시작하여 오후 12시 55분 33초에 종료되었고, 최대 식분 0.8993, 지속 시간 2시간 20분 20초를 기록했으며, 사로스 120 주기 등 여러 주기에 속하는 현상이었다. - 1907년 선거 - 1907년 1월 러시아 총선
1907년 1월 러시아 총선은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 제2대 러시아 국가두마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나, 급진적인 의원들의 다수로 정부와의 갈등 심화와 두마 해산으로 이어져 러시아 민주주의의 짧은 실험으로 평가받는다. - 1907년 선거 - 1907년 10월 러시아 총선
1907년 10월 러시아 총선에서 온건 보수 성향의 10월 17일 연합이 154석을 차지하며 제1당이 되었고, 국민주의자가 97석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입헌민주당, 우익, 진보당-평화혁신당 등 다양한 정당들이 의회에 진출하여 총 의석수는 509석이었다.
190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 |
---|---|
선거 정보 | |
국가 | 독일 제국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이전 선거 | 1903년 독일 연방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03년 |
선거 날짜 | 1907년 1월 25일 |
차기 선거 | 1912년 독일 연방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1912년 |
선출 의석수 | 397석 |
과반 의석수 | 199석 |
등록 유권자 수 | 13,352,880명 |
투표율 | 84.65% |
지도 | |
![]() | |
주요 정당 | |
정당 | 독일 중앙당 |
대표 | 프란츠 폰 발레스트렘 |
이전 선거 결과 | 19.75%, 100석 |
당선 의석수 | 101석 |
의석 변화 | 1석 |
득표수 | 2,116,246표 |
득표율 | 18.79% |
득표율 변화 | 0.96%p |
정당 | 독일 보수당 |
대표 | 오토 폰 만토이펠 |
이전 선거 결과 | 9.49%, 52석 |
당선 의석수 | 59석 |
의석 변화 | 7석 |
득표수 | 1,060,209표 |
득표율 | 9.41% |
득표율 변화 | 0.08%p |
정당 | 국민자유당 |
대표 | 에른스트 바서만 |
이전 선거 결과 | 13.71%, 50석 |
당선 의석수 | 56석 |
의석 변화 | 6석 |
득표수 | 1,666,705표 |
득표율 | 14.80% |
득표율 변화 | 1.10%p |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
대표 | 파울 징어 & 아우구스트 베벨 |
이전 선거 결과 | 31.71%, 81석 |
당선 의석수 | 43석 |
의석 변화 | 38석 |
득표수 | 3,259,029표 |
득표율 | 28.94% |
득표율 변화 | 2.77%p |
정당 | 독일 자유당 |
대표 | 헤르만 뮐러-자간 |
이전 선거 결과 | 5.65%, 21석 |
당선 의석수 | 29석 |
의석 변화 | 8석 |
득표수 | 737,220표 |
득표율 | 6.55% |
득표율 변화 | 0.90%p |
정당 | 자유보수당 |
대표 | - |
이전 선거 결과 | 3.54%, 21석 |
당선 의석수 | 24석 |
의석 변화 | 3석 |
득표수 | 471,863표 |
득표율 | 4.19% |
득표율 변화 | 0.65%p |
국가의회 의장 | |
선거 전 의장 | 프란츠 폰 발레스트렘 |
선거 전 의장 정당 | 독일 중앙당 |
선거 후 의장 | 우도 주 스톨베르크-베르니게로드 |
선거 후 의장 정당 | 무소속 |
2. 배경
190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에서 벌어진 헤레로족과 나마족 학살의 영향으로 "호텐토트 선거"라고 불렸다.[1] 당시 나마족은 멸시적인 표현인 "호텐토트"로 불렸다.[1]
1906년 8월 2일, 독일 정부가 식민지 전쟁을 위한 추가 예산 를 의회에 요청하면서 정치적 위기가 시작되었다.[1] 독일 사회민주당(SPD)은 나마족 학살을 일으킨 무자비한 전쟁 수행을 이유로 추가 자금 지원에 반대했다.[1] 중앙당의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 역시 과도한 지출과 식민지 전쟁에 반대하며 정부와 대립했다.[1] 반면, 독일 보수당과 국민자유당은 식민지 전쟁 지속을 강력하게 지지했다.[1] 1906년 12월 13일, 의회 투표에서 예산안은 근소한 차이로 부결되었다.[1]
같은 날, 베른하르트 폰 뷜로 재상은 빌헬름 2세 황제의 동의를 얻어 의회를 해산했다. 뷜로는 보수당과 국민자유당 간의 연합("카르텔")을 복원하고, 오이겐 리히터 사망 이후 정부 지지 성향을 보인 좌파 자유주의 정당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정치 동맹(뷜로 블록)을 결성하여 황제와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했다.
2. 1. 호텐토트 선거와 식민지 정책 논쟁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의 헤레로족과 나마족 학살로 인해, 이번 선거는 그 원인과 선거 운동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호텐토트 선거"로 알려지게 되었다.[1] 당시 나마족은 비하적인 용어였던 "호텐토트"라고 불렸다.[1] 1906년 8월 2일, 정부가 의회에 의 예산을 요청했을 때 지속적이고 점점 더 많은 비용이 드는 식민지 전쟁은 독일에서 정치적 위기를 초래했다.[1] 특히 독일 사회민주당(SPD)은 나마족의 대량 학살로 이어진 무자비한 전쟁 수행을 고려하여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1] 정부는 양보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려 했지만, 곧 과도한 지출을 비판하고 식민지 전쟁에 반대했던 중앙당 대표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의 반대에 직면했다.[1] 이로 인해 중앙당 그룹은 일부 구성원의 의지와는 달리 예산안에 반대 투표를 했다.[1] 반면에 독일 보수당과 국민자유당은 식민지 전쟁 지속을 강력히 지지했다.[1] 12월 13일, 의회 투표에서 예산안은 177대 168로 근소한 차이로 부결되었다.[1]2. 2. 정치적 위기와 의회 해산
이번 선거는 식민지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의 헤레로족과 나마족 학살로 인해 그 원인과 선거 운동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호텐토트 선거"로 알려졌다. 당시 나마족은 비하적인 용어였던 "호텐토트"라고 불렸다. 1906년 8월 2일, 독일 정부가 의회에 의 식민지 전쟁 예산을 요청하면서 정치적 위기가 초래되었다.특히 독일 사회민주당(SPD)은 나마족 학살로 이어진 무자비한 전쟁 수행을 이유로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 정부는 양보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려 했지만, 중앙당 대표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는 과도한 지출을 비판하며 식민지 전쟁에 반대했다. 이로 인해 중앙당 그룹은 일부 구성원의 의지와는 달리 예산안에 반대 투표를 했다. 반면, 독일 보수당과 국민자유당은 식민지 전쟁 지속을 강력히 지지했다. 12월 13일, 의회 투표에서 예산안은 177대 168로 근소한 차이로 부결되었다.
같은 날, 베른하르트 폰 뷜로 재상은 빌헬름 2세 황제의 동의를 얻어 의회를 해산했다. 황제와 관료주의의 일부는 중앙당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유보적인 입장을 가졌기 때문에, 뷜로는 사소한 문제임에도 의회 해산이라는 결정을 내렸다. 뷜로는 중앙당에 계속 의존하고 싶어했지만, 새로운 정치적 다수를 형성하면 황제와의 손상된 신뢰를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랐다. 이를 위해 보수당과 국민자유당 간의 이전 "카르텔" 동맹을 재개하고, 오이겐 리히터 사망 이후 정부 지지 성향을 보인 좌파 자유주의 정당을 포함하는 새로운 동맹(뷜로 블록)을 성사시켰다. 이들은 정부의 중재를 통해 결선 투표 기간 동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2. 3. 뷜로 블록의 형성과 선거 전략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에서 일어난 헤레로족과 나마족 학살로 인해, 이 선거는 "호텐토트 선거"로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나마족은 비하적인 용어인 "호텐토트"라고 불렸다. 지속적인 식민지 전쟁으로 인해 1906년 8월 2일, 독일 정부가 의회에 의 예산 추가를 요청하면서 독일에서 정치적 위기가 발생했다. 독일 사회민주당(SPD)은 나마족에 대한 학살을 일으킨 전쟁 수행을 비판하며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 중앙당 대표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는 과도한 지출을 비판하며 식민지 전쟁에 반대했다. 반면, 독일 보수당과 국민자유당은 식민지 전쟁 지속을 강력히 지지하였다. 12월 13일, 의회 투표에서 예산안은 근소한 차이로 부결되었다.같은 날, 재상 베른하르트 폰 뷜로는 빌헬름 2세 황제의 동의를 얻어 의회를 해산했다. 뷜로는 보수당과 국민자유당 간의 이전 "카르텔" 동맹을 재개하고 좌파 자유주의 정당을 포함하는 새로운 정치적 다수를 형성하여 황제와의 손상된 신뢰를 회복하고자 했다. 전년도 오이겐 리히터의 사망 이후, 좌파 자유주의자들은 정부를 지지할 의향을 보였고, 이 동맹은 성사되어 뷜로 블록으로 불리게 되었다.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정부는 "국가적 문제"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다수 확보와 군주제, 종교, 재산의 적으로 여겨지는 사회민주당, 그리고 "신뢰할 수 없는" 중앙당에 대한 투쟁을 요구했다. 목표는 카르텔 정당과 좌파 자유주의자들로부터 민족주의적, 반사회주의적, 반성직자적 블록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는 새로 창설된 사회민주주의 반대 국가 연합의 지원을 받았다.
3. 선거 결과
190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에서 사회민주당(SPD)은 득표율이 소폭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의석수는 크게 감소했다. 1903년 선거에서 81석을 획득했던 사회민주당은 이번 선거에서 43석을 얻는데 그쳤다. 이는 사회민주당이 득표율에서는 10% 차이로 가장 강력한 정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블록 정당 간의 런오프 협약으로 인해 불리한 위치에 놓였기 때문이다.
반면, 중앙당은 105석을 확보하여 원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했다. 국민자유당은 54석, 독일 보수당은 60석을 얻는 등 '뷜로 블록'에 참여한 정당들은 선거 협약 덕분에 의석수가 소폭 증가했다. 독일 자유당은 28석을 얻어 좌파 자유주의 정당 중 가장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다.
폴란드계 정당들은 상부 실레지아 지역에서 5석을 획득하는 등 약진을 보였다. 이는 프로이센 주 정부의 반 폴란드 정책과 브제스니아 학교 파업 등으로 인해 폴란드인들의 정치화가 촉진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체적으로 '뷜로 블록'은 397석 중 220석을 차지하여 과반수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3.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정당 | 득표수 | % | 의석수 | +/– |
---|---|---|---|---|
사회민주당 | 3,259,000 | 29.0 | 43 | -38 |
중앙당 | 2,179,800 | 19.4 | 105 | +5 |
국민자유당 | 1,630,600 | 14.5 | 54 | +3 |
독일 보수당 | 1,060,200 | 9.4 | 60 | +6 |
독일 자유당 | 736,000 | 6.5 | 28 | +7 |
보수자유당 | 471,900 | 4.2 | 24 | +3 |
폴란드인의 당 | 453,900 | 3.9 | 20 | +4 |
자유연합 | 359,300 | 3.2 | 14 | +5 |
반유대주의 | 248,500 | 2.2 | 16 | +5 |
독일 인민당 | 138,600 | 1.2 | 7 | +1 |
독일 농민동맹 | 119,400 | 1.1 | 8 | +4 |
경제 연합 | 104,600 | 0.9 | 5 | 신규 |
알자스-로렌당 | 103,600 | 0.9 | 7 | -2 |
독일-하노버당 | 78,200 | 0.7 | 1 | -5 |
바이에른 농민동맹 | 75,300 | 0.7 | 1 | -3 |
덴마크인의 당 | 15,000 | 0.1 | 1 | 0 |
기타 | 219,100 | 1.9 | 3 | 0 |
기권/무효 | 50,100 | - | - | - |
합계 | 11,303,500 | 100 | 397 | 0 |
등록 유권자 / 투표율 | 13,352,900 | 84.7 | - | - |
3. 2. 지역별 선거 결과 (알자스-로렌 등)
알자스-로렌 지역의 1907년 독일 제국 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정당 | 득표수 | 의석수 | 득표율 변화 | 의석수 변화 |
---|---|---|---|---|
알자스-로렌 센터당 | 92,668 | 7 | +2.53% | +1 |
사회민주당 | 81,589 | 2 | -0.42% | +2 |
로렌 독립당 | 48,504 | 3 | -1.69% | -1 |
중앙당 | 43,348 | 1 | +5.53% | +1 |
로렌 지역당 | 22,311 | 0 | - | - |
알자스 자유주의자 | 16,318 | 0 | -4.34% | -2 |
알자스 자유주의 그룹 | 14,876 | 0 | +1.08% | -1 |
독일 제국당 | 9,469 | 1 | -0.74% | 0 |
알자스-로렌 시위자 | 7,883 | 1 | -0.60% | 0 |
자유연합 | 5,638 | 0 | -0.97% | 0 |
기타 | 738 | 0 | -0.13% | 0 |
불명 | 215 | 0 | +0.06% | 0 |
무효표 | 3,054 | - | - | - |
총 투표수 | - | - | - | - |
유권자 수 | 397,255 | - | - | - |
[1]
알자스-로렌 센터당이 7석을 차지하여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하였다. 사회민주당은 2석을 얻어 2위를 차지했다. 로렌 독립당은 3석, 중앙당, 독일 제국당, 알자스-로렌 시위자는 각각 1석을 얻었다.
4. 영향 및 평가
190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독일 제국 내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민주당(SPD)의 의석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보수 정당들과 자유주의 정당들의 연합이 강화되었다. 이는 독일 제국의 대외 정책, 특히 식민지 정책과 군비 확장에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선거는 또한 독일 사회 내 민족주의 정서를 강화시켰다. 선거 과정에서 나타난 민족주의적 선전과 구호들은 독일 국민들 사이에 애국심을 고취하고, 제국의 팽창 정책에 대한 지지를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사회민주당의 의석 감소에도 불구하고, 노동자 계층과 사회주의 운동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력했다. 이들은 선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노동 조건 개선과 정치적 권리 확대를 요구하며 독일 사회 내 긴장 관계를 유지했다.
결과적으로, 1907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독일 제국의 정치적, 사회적 발전에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선거를 통해 형성된 정치 구도는 이후 독일의 국내외 정책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4. 1. 한국과의 관계 (별도 항목)
(빈 문서)참조
[1]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웹사이트
Hottentot election [German Empire federal elections of 1907]
https://www.dict.cc/[...]
TU Chemnitz
2020-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